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개신교가 사이비랑 다를바 없는 이유

by only one2 2024. 12. 11.

한국 개신교의 '성직주의'는 중세의 계급적 사제 제도를 그대로 복제한 불법 모조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출처 : NEWS M(https://www.newsm.com)



개신교 내부에서 발생하는 부패와 비리는 단순히 몇몇 지도자의 개인적 문제로 국한될 수 없는 구조적 결함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습니다. 다락방과 같은 사례는 조직적 문제의 단면을 보여주며, 개신교 단체들이 이와 관련된 책임을 지도자 개인에게 떠넘기는 경향은 문제가 더 깊어지는 계기가 되고 있습니다. 이는 "개신교는 사이비"라는 비판을 회피하기 위해 조직의 본질적인 문제를 간과하는 데 따른 결과로 보입니다.

1. 책임 전가의 메커니즘

개신교 내 부패와 비리가 드러날 때마다 나타나는 대응 양상은 반복적입니다:

  • 개인화된 책임 부여: 문제가 발생하면 이를 특정 지도자 개인의 타락으로 몰아가면서 조직적 책임을 회피합니다.
  • 조직과의 분리 선언: 문제가 된 인물과 조직 간의 관계를 부인하며 체계적인 문제를 외면합니다.
  • 희생양 전략: 특정 지도자를 제거하는 선에서 사안을 종결하고, 문제를 유발한 시스템은 유지하려 합니다.

이 같은 방식은 본질적인 문제를 감추는 데 그치며, 오히려 대중의 불신을 키우고 부패가 반복될 가능성을 높입니다.

2. 구조적 문제의 본질

다락방 사례는 개별적인 지도자의 타락으로만 설명할 수 없습니다. 개신교 조직 전반에 뿌리내린 구조적 문제들이 보다 근본적인 원인으로 지적됩니다:

  • 권위주의와 신격화: 지도자를 "하나님의 대리자"로 신격화하는 구조는 내부 비판과 견제를 어렵게 만들어, 지도자의 부패를 방치하게 만듭니다.
  • 투명성 부재: 재정 관리 및 의사 결정 과정의 불투명성은 조직 내 비리를 촉진하는 토양이 됩니다. 헌금 사용 내역에 대한 보고조차 명확하지 않은 사례가 빈번합니다.
  • 종교의 비즈니스화: 종교적 본질보다 숫자, 헌금, 건물 확장 등 외형적 성공에 초점을 맞춘 행태는 개신교 조직 전체의 방향성을 왜곡시키고 있습니다.

3. 개혁의 필요성과 방향

단순히 특정 지도자를 비난하거나 교체하는 방식만으로는 개신교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전환하기 어렵습니다. 조직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다음과 같은 개혁이 요구됩니다:

  • 구조적 개혁: 권위주의적 리더십과 불투명한 운영 방식을 철저히 혁신하고, 외부 감시 및 견제를 가능하게 하는 체계를 마련해야 합니다.
  • 신도 교육 강화: 신도들에게 비판적 사고와 성경적 윤리 판단을 교육하여, 지도자에 대한 맹목적 복종을 지양하고 성숙한 신앙을 형성하도록 해야 합니다.
  • 종교적 권위 해체: 지도자를 신격화하거나 절대적 권위를 부여하는 구조를 폐지하고, 지도자를 "종교 공동체의 동등한 일원"으로 간주해야 합니다.

4. 개신교에 던지는 질문

개신교는 스스로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질 필요가 있습니다:

  • 조직은 투명하고 공정하게 운영되고 있는가?
  • 지도자에 대한 비판과 견제가 가능한 환경이 조성되어 있는가?
  • 권력 남용과 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는가?
  • 특정 교회의 문제라도 교단 전체가 이를 책임지는 자세를 갖추고 있는가?

이 질문에 답하지 못한다면, 개신교는 대중과 신도의 신뢰를 잃고 "사이비"라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종교는 도덕성과 희망을 상징해야 하며, 그 본질을 회복하기 위해 개신교는 지금이야말로 자성과 개혁의 길로 나아가야 할 시점입니다. 개신교 조직이 이러한 변화를 도모하지 않는다면, 지속적인 비판과 신뢰 상실의 악순환은 불가피할 것입니다.